AI Study/생성모델 2

[생성모델] 세상에 없던 무언가, AI 생성모델 2편 - Diffusion Model

Beyond Human Limitation “인간시대의 끝이 도래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 League of Legends의 한 캐릭터의 대사입니다. Diffusion Model에 기반을 둔 DALL-E , Stable Diffusion 등이 생성한 그림을 본 사람들의 반응과도 유사합니다. 특히 바둑에서 알파고가 뛰어난 실력을 보이며 이세돌 9단을 이겼던 2016년 당시의 충격 이상으로, 인간만의 고유한 영역이라고 여겨져왔단 창작의 영역에서 까지 Deep Learning 모델이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 사건은 많은 사람들에게 더 큰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딥러닝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VAE,GAN,Flow Based 모델과 같이, Diffusion Model 이전에도 좋은 성능을 보여준 생..

AI Study/생성모델 2023.01.09 (5)

[생성모델] 세상에 없던 무언가, AI 생성모델 1편 VAE부터GAN까지

안녕하세요, 마인즈앤컴퍼니입니다. AI 생성모델과 관련한 내용을 3편에 걸쳐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편 '세상에 없던 무언가, AI 생성모델 1편 VAE부터 GAN까지'입니다. AI가 만드는 세상 물체를 탐지하고, 영어를 한글로 번역하는 AI를 넘어, 우리는 AI가 그림을 그리고 작곡을 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놀랍게도 아래의 얼굴 사진은 세상에 존재하는 사람이 아닌 AI 만들어낸 가상의 인물입니다! 세상에 없던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AI 생성 모델에 대해 총 2편의 글에 걸쳐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입니다. 판별모델과 생성모델의 차이 판별 모델(Discriminative Model)은 개와 고양이를 분류하듯, 데이터가 주어젔을 때, 주어진 정보를 고려하여 이를 특정 ..